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속의 패밀리

만우절의 놀라운 기원? 4월 1일, 누가 우리를 속이기 시작했을까? 본문

정보

만우절의 놀라운 기원? 4월 1일, 누가 우리를 속이기 시작했을까?

chul10002 2025. 3. 25. 21:31

매년 4월 1일이 되면, 우리는 한 번쯤 고민하게 된다.
“이거 진짜야? 아니면 또 만우절 장난이야?”

친구에게 장난 문자 하나 보냈다가, 진심으로 걱정하는 전화가 오고,
회사 단톡방에서 터진 "오늘 재택근무" 공지를 읽고 가슴이 두근거렸던 적,
혹시 한 번쯤은 있지 않았을까?



그런데 문득 궁금해졌다.
대체 왜 4월 1일에 우리 모두 장난을 치는 걸까?
이 이상한(?) 전통은 도대체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된 걸까?


1. 그날, 프랑스에서 시작된 착각 한 스푼

가장 유명한 설은 16세기 프랑스에서 비롯되었다는 이야기다.

때는 바야흐로 1564년. 프랑스의 왕 샤를 9세는 역사적인 결정을 내린다.
바로 달력 개정! 그전까지 프랑스는 4월 1일을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했는데,
이제부터는 1월 1일을 새해로 정하겠다는 것.

그런데 문제는, 이게 지금처럼 스마트폰 알림으로 전해질 시대가 아니었다는 것.
시골 사람들, 편지를 늦게 받은 이들, 혹은 그냥 옛날 방식이 익숙했던 이들은
여전히 4월 1일을 새해로 축하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자 어떤 사람들이 이들을 놀리기 시작했다.
“에이, 아직도 4월이 새해라고 믿는 거야?”
가짜 초대장, 엉뚱한 선물, 말도 안 되는 뉴스로 그들을 놀리는 장난이
만우절의 시초가 되었다는 것!


2. 고대 로마도 웃겼다? 봄맞이 익살 축제

이보다 훨씬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설도 있다.
고대 로마에는 ‘힐라리아(Hilaria)’ 축제라는 것이 있었는데,
이 축제에서는 사람들이 가면을 쓰고 익살스러운 장난을 치며 봄을 맞이했다.

“새로운 계절에는 웃음이 필요하지!”
라는 생각이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던 걸까?

로마인들은 진지한 철학만 논한 게 아니었다.
때론 우리처럼 “장난 좀 칠까?” 하고 웃으며 하루를 보냈던 것 같다.


3. 만우절 장난이 전 세계로 퍼지다

프랑스에서 시작된 장난은 점점 퍼져나가 영국, 독일, 스코틀랜드, 인도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도 4월 1일을 특별한 장난의 날로 여기게 되었다.

특히 스코틀랜드에서는 무려 이틀 동안 만우절을 즐겼다고 하는데,
첫날은 “바보 만들기”
둘째 날은 “등에 이상한 종이 붙이기”
… 지금도 회사에서 누군가 등에 쪽지 붙이고 다니는 거, 여기서 유래한 걸지도?


4. 진짜 뉴스보다 더 재미있는 가짜 뉴스

현대에 들어오면서 언론사, 기업, 방송국들도 이 전통에 동참하게 된다.

1957년 BBC는 **‘스위스 스파게티 나무에서 면을 수확하는 장면’**을 뉴스로 보도해 전 세계를 속였다.

구글, 이케아, 나이키 같은 대기업들도 만우절마다 기상천외한 가짜 제품 발표로 웃음을 자아낸다.


사람들은 알면서도 속아주고, 웃으면서도 “진짜일지도?” 하며 하루를 보낸다.


그래서, 만우절은 왜 존재할까?

누군가는 말한다.
"진지한 일상 속에 잠깐 숨 쉴 구멍을 만들기 위해서."

가끔은 속아주는 게 더 재밌고,
하루쯤은 눈치 보지 않고 유쾌한 장난을 칠 수 있는 날.

그게 바로 4월 1일, 만우절이다.


여러분들은 혹시 올해는 어떤 장난을 준비하고 있나요?




조심하세요~!
속이려는 자보다, 더 잘 속아주는 자가 인기쟁이일지도 모르니까요! ^^